ABOUT US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한 지속적인 R&D를 통해
초심을 잃지 않고 환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정진하겠습니다.
초심을 잃지 않고 환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정진하겠습니다.
REYON NEWS
고객과 늘 함께 같은 꿈을 꾸며 행복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겠습니다
-
이연제약, 코넥스트와 CDMO 사업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력 MOU 체결이연제약이 코넥스트와의 업무협력을 통해 CDMO 사업 강화에 나선다. (왼쪽부터 코넥스트 이우종 대표이사, 이연제약 유용환 대표이사) 이연제약(대표이사 정순옥, 유용환)은 코넥스트(대표이사 이우종)와 바이오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양사는 재조합단백질 생산시스템을 기반으로, 미생물 발효 기반 CDMO 사업 협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 운영에 대한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사업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재조합단백질을 활용한 공정개발, 분석법 및 제형개발 등은 코넥스트가 담당하며, GMP 생산은 이연제약에서 진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제약사 및 바이오 벤처를 고객으로 유치하고 양사의 프로젝트를 연계하여 CDMO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코넥스트는 재조합 TLR5 agonist(작용제)와 재조합 collagenase...2022.12.14
-
이연제약, 프로티움사이언스와 CDMO 사업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력 MOU 체결이연제약이 프로티움사이언스와의 업무협력을 통해 CDMO 사업 확장에 나선다. 이연제약(대표이사 정순옥, 유용환)은 프로티움사이언스(대표이사 김훈택)와 바이오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양사는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 및 노하우, 연구개발 능력, 생산시설 등을 기반으로 CDMO 사업 운영에 대한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사업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CDO(위탁개발), CMO(위탁생산), CDMO(위탁개발생산) 등 바이오의약품의 전주기 개발과 생산에 대한 협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약사 또는 바이오 벤처를 고객으로 유치하고 양사의 프로젝트를 연계하여 CDMO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 프로티움사이언스는 희귀난치질환 전문 신약개발기업인 티움바이오의 자회사로 바이오의약품 생산 세포주 개발부터 임상 1상에서 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까지의 모든...2022.12.07
-
이연제약, 테라베스트와 pDNA 시료 공급 기반 사업 협력 MOU 체결- NK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pDNA 시료 생산 및 공급 - 향후 NK 세포치료제 공동개발 및 전략적 투자 논의 이연제약이 pDNA(플라스미드DNA) 시료 공급과 함께 NK세포치료제 분야 진출로 바이오 사업 영역 확장에 나선다. 이연제약(대표이사 정순옥, 유용환)은 테라베스트(대표이사 기평석)와 NK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pDNA 시료 공급 기반의 사업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테라베스트는 이연제약에게 NK세포치료제 개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이연제약은 이를 기반으로 NK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pDNA 시료를 비롯해 k562 세포주 등을 생산 및 공급하게 된다. 테라베스트는 난치성 질환 대상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유래 차세대 NK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신약 연구개발 기업이다. 또한 cGMP 기준의 세포치료제 특화 GMP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3년 임상시험용 제품 생산을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차세대 NK세포치료제...2022.11.24
-
이연제약, 티앤알바이오팹과 차세대 복합지혈제 공동개발 및 상용화 MOU 체결- 차세대 복합지혈제를 이용한 의료기기 등 공동개발 및 상용화 협력 이연제약이 복합지혈제 시장에 진출하며 케미컬 사업영역을 더욱 강화한다. 이연제약(대표이사 정순옥, 유용환)은 티앤알바이오팹(대표이사 윤원수)과 차세대 복합지혈제의 공동개발 및 상용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이연제약은 지혈제의 주요 원료인 동물유래 트롬빈을 생산 및 공급하며 티앤알바이오팹은 이연제약에서 공급받은 트롬빈을 활용, 다양한 ECM(세포외기질) 및 젤라틴 소재에 융복합화하여 매트릭스 및 파우더 형태의 복합지혈제를 개발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지혈제 시장은 19년부터 연평균 8.7% 성장, 26년에는 104억 달러(한화 약 1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국내 시장 규모는 약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국내 지혈제 시장은 복강경, 내시경 수술 등의 증가로 높은 성장이 예상되나, 대부분 고...202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