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US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한 지속적인 R&D를 통해
초심을 잃지 않고 환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정진하겠습니다.
초심을 잃지 않고 환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정진하겠습니다.
REYON NEWS
고객과 늘 함께 같은 꿈을 꾸며 행복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겠습니다
-
이연제약, 근감소증 치료의 미래, 애니머스큐어와의 MOU 체결이연제약(대표이사 정순옥, 유용환)과 애니머스큐어(대표이사 강종순, 배규운)는 6일 노화성 근감소증 치료제에 대한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이연제약과 애니머스큐어는 양사가 보유한 강점 및 역량을 투입하여 근감소증 치료제의 공동연구개발을 수행함과 동시에 해외 기술 수출 및 국내 인허가를 득함을 목적으로 협업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아울러 이연제약은 공동연구개발의 성과를 통해 임상시험 및 상업화가 진행되는 경우 해당 치료제의 생산권 및 국내 시판허가권에 대해 우선권을 가질 예정이다. 노화성 근감소증은 나이듦에 따라 근력, 근육량, 근육 기능 등이 약화되어 2차 질환 및 균형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이는 만성 기능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질환이다. 특히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드는 현재, 주요 선진국에서는 근감소증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근감소증을 질환으로 분류하였으나 승인된 치료제는 세계적으로 전무한 상황이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근육질환 치료제의 ...2025.01.08
-
이연제약, 바이오의약품 전문수탁 GMP 인증 획득이연제약 충주공장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바이오의약품 전문수탁 제조업체 GMP 인증을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이연제약 충주공장은 2023년에 KGMP 인증을 받은 바 있으며 이번 GMP는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전문 위탁개발생산(CDMO)이 가능한 제조시설로 평가받은 것이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확대되며 CMO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제조 위수탁 사업을 전문적으로 영위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의약품 전문수탁 GMP가 필수적이다. 글로벌 바이오 CDMO 시장 규모는 내년도에 200억 달러를 웃돌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연제약의 충주공장은 미국 FDA가 요구하는 우수 의약품 제조관리기준(cGMP) 수준으로 준공되었으며,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한 최신 기술과 장비를 이미 갖추고 있다. 국내 유일의 대장균 발효기반 pDNA 생산 전용 설비를 보유하고 있고, 동물세포 배양기반 AAV 공정 기술도 개발을 마쳤기 때문에 충주공장은 플라스미드DNA(pDNA) 및 ...2024.11.14
-
이연제약, 뉴라클제네틱스와 공동개발 중인 AAV 유전자치료제 캐나다 임상 1/2a상 승인- 2020년, 습성노인성황반변성 유전자치료제(NG101) 공동개발 계약으로 전세계 원료 및 완제 독점 생산공급 권리 확보 - 2023년 3분기 임상개시 향후 미국으로 임상국가 확대 예정 이연제약(대표이사 정순옥, 유용환)은 파트너사인 바이오 벤처기업 ㈜뉴라클제네틱스(대표이사 김종묵)와 공동 개발중인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유전자치료제 NG101의 임상 1/2a상 시험을 캐나다 연방 보건부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아데노부속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AAV) 벡터 기반 유전자치료제 NG101은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wAMD)을 주요 타겟 적응증으로 하는 신약으로 양 사는 지난 2020년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계약에서 이연제약은 이 치료제의 원료 및 완제에 대한 전세계 독점 생산권 및 공급 권리를 확보하였으며, 향후 진행될 임상시료 생산에서부터 상용화 생산까지 충주 바이오 공장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2022년 발간된 Grand View Res...2023.05.02
-
이연제약, 테라베스트와 NK세포치료제 공동개발계약 체결- 고형암 타겟의 NK세포치료제 TB-100에 대한 공동개발 수행 - 세포치료제 생산을 위한 pDNA 독점공급 및 수익의 공유 확보 이연제약이 NK세포치료제 공동개발을 통해 바이오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 (왼쪽부터 테라베스트 기평석 대표이사, 이연제약 유용환 대표이사) 이연제약(대표이사 정순옥, 유용환)은 테라베스트(대표이사 기평석)와 고형암 치료를 위한 NK세포치료제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서 양 사는 고형암 적응증 대상의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NK세포치료제 TB-100에 대한 공동개발을 수행한다. 아울러 이연제약은 해당 세포치료제 생산 시 필요한 pDNA(플라스미드DNA)를 전 세계에 독점적으로 제조 및 공급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다. 계약에 따라 이연제약은 테라베스트에 계약금에 더해 임상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지급하며, 임상비용은 테라베스트와 공동으로 부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이연제약은 향후 제품화에 따른 수익은 물론, 개발 과정에...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