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투자
지속가능한 동반자로서 함께 가치를 만들어 가는 이연
허혈성 지체질환 대상 VM202 임상2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2016.01.21

허혈성 지체질환 대상 VM202 임상2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VM202의 우수한 치료효과, Texas Heart Institute에서 발표

 

1월 19일 미국 텍사스 심장 연구소(Texas Heart Institute Stem Cell Center, 이하 THI)는 Gene therapy 2016년 1월호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DNA 치료제인 VM202의 임상2상 시험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해 VM202가 중증하지허혈(Critical Limb Ischemia)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보도하였다. (http://www.texasheart.org/AboutUs/News/2016-1-18news_VM202_promising_for_CLI.cfm)

 

○ THI의 에머슨 페린 교수(Dr. Emerson Perin)를 책임자로 실시된 이 임상시험은 THI를 포함한 미국과 한국의 16개 병원에서 총 52명의 중증하지허혈(Critical Limb Ischemia) 질환자를 대상으로 12개월동안 VM202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위약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 VM202는 ㈜바이로메드(대표이사 김용수, KOSDAQ 084990)가 개발한 DNA 약물로써 새로운 혈관을 형성하고 신경세포를 재생할 수 있는 약물이다. 미국과 한국에서 동시에 같은 VM202를 사용하여 임상시험 2상을 진행하였으며, 한국에서 실시한 임상시험은 이연제약(대표이사 박수천, KOSPI 102460)이 공동으로 참여하였다.

 

이 논문에 따르면, VM202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통증 감소 효과(VAS), 조직의 산소포화도(TcPO2), 발목혈압의 증가(ABI), 궤양의 개선효과를 유효성 지표로서 측정하였는데, VM202 투약 후 이상의 모든 유효성 지표에서 지속적으로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VM202 16mg를 투약받은 그룹에서 궤양의 개선과 조직의 산소포화도(TcPO2 level)가 위약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특히, 궤양의 개선효과를 평가했을 때, 위약대조군에서 11% (9개중 1개 치유)의 궤양이 완치된 것에 비해, VM202 16mg이 투여된 치료군에서는 62% (13개중 8개)의 궤양이 완치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다. 환자 다리조직의 산소포화도 측정검사에서도 위약대조군에 비해 VM202 16mg 그룹에서 치료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 텍사스 심장 연구소 (Texas Heart Institute Stem Cell Center, THI)의 에머슨 페린 교수는 "측정하고자 하는 모든 지표에서 지속적이고 일관된 개선효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이는 더 이상 치료방법이 없는 중증의 질환을 가진 수천명의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는 매우 희망적인 결과라고 생각한다. 임상적으로 가장 의미를 가지는 결과는 VM202를 투약 받은 환자들에서 확인된 궤양의 개선이다. " 며 "의학적 치료의 한계 때문에 때로는 다리절단까지 이끄는 심각한 증상, 특히 만성난치성 궤양을 치료하기 위한 혁신적인 약물로써 VM202가 가진 이러한 잠재력을 임상3상 시험에서 더 증명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바이로메드 연구소장 정재균 박사는 "VM202는 두 가지 이형체 단백질의 발현을 통해 새로운 우회혈관을 만들어줌으로써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질환들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증하지 허혈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임상2상을 통해 VM202의 개념증명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임상3상에서는 같은 원리를 적용하여 만성난치성 족부궤양 치료제로서의 VM202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빠른 시일 내에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바이로메드가 개발한 VM202 약물의 이번 임상 결과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스타 과제 2단계의 지원으로 수행된 성과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스타 프로젝트 2단계
연구내용: 허혈성 지체질환의 미국 임상시험 2상 연구
연구기간: 2010.10 ~ 2014.03

 

[붙임1] VM202 임상2상 연구 개요
[붙임2] VM202 개요


[붙임1] VM202 임상2상 연구 개요

 

1. 대상질환: 중증하지허혈(critical Limb Ischemia) ※ 질환설명 [붙임2 참고]
2. 임상시험 실시기관: 총 16개 병원 

1)TexasHeartInstitute

2)NorthwesternUniversity

3)UniversityofMinnesota

4)SaintLouisUniversity

5)St.JosephHospitalofOrange(VISOC)

6)JobstVascularCenter

7)BostonMedicalCenter

8)UniversityofNorthCarolina

9)UniversityofOklahomaHSC

10)TheCareGroup

11)CardiologyPC

12)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13)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14) 서울대학교병원 외 2개
3. 임상책임자: Dr. Emerson Perin (Texas Heart Institute Stem Cell Center)
4. 투여군: 총 52명
  - VM202 위약대조군(Placebo) 11명
  - VM202 저용량군(8mg): 21명
  - VM202 고용량군(16mg): 20명
    : 종아리를 따라 0, 14, 28 & 42일째에 한쪽 다리에만 근육주사 (총 4회 주사)
5. 추적 관찰 기간: 12개월
6. 주평가지표:
1) VM202의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
2) 약물 투약 후 9개월째의 통증의 정도(VAS)를 약물 투약 전과 비교
7. 부평가지표:
1) 조직의 산소포화도 변화: 약물 투약 9, 12개월째의 경피적산소분압(TcPO2 level)을 약물 투약 전과 비교
2) 혈압의 변화: 약물 투약 3, 6, 9, 12개월째의 발목상완지수(ABI)와 발가락상완지수(TBI)를 약물 투약 전과 약 비교
3) 궤양의 개선: 약물 투약 9개월째의 궤양의 개선정도를 약물 투약 전과 비교

 

[붙임2] VM202 개요

VM202는 새로운 혈관을 형성하고 신경세포를 재생할 수 있는 DNA 의약품이다. VM202를근육주사하면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HGF)의 단백질을 체내에서 생산한다. HGF는 신생혈관 형성을 유도하고 신경세포 인자로 활동하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활성화 된 다양한 신호를 통해 세포는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다리 하지부위의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생기는 허혈성 지체질환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임상2상의 대상질환인 중증하지허혈은 말초혈관질환이 막히고 질환이 더 진행된 형태로 휴식기 통증을 동반하며, 궤양, 괴저, 절단의 순으로 진행되는 중증의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VM202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FDA로부터 허혈성의 만성난치성 족부궤양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3상 허가를 받았다.
VM202는 이밖에도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에 대해 미국 FDA로부터 임상3상 허가를 받아 시작을 준비중에 있으며, 최근 루게릭병을 대상으로 한 미국 임상1/2상에서도 고무적인 결과를 확인하여 후속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